우리가 실내에서 키우는 반려 식물들은 우리 사람과 함께 사계절을 함께 한다. 반려 식물도 생명이니 만큼 우리가 계절이 바뀜에 따라 신체의 크고 작은 변화를 느끼며 건강 관리에 유의하 듯이, 이들 실내 식물들도 계절의 순환에 따라 관리가 필요한 법이다. 반려 식물의 계절별 관리 방법과 병충해에 관해 알아 본다.
1. 봄철 관리법
봄은 식물이 겨울 동안의 휴식 기간에서 깨어나 다시 생육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불필요한 줄기나 가지는 과감히 잘라내고, 분갈이가 필요한 식물들은 이때 분갈이도 해주고, 영양 공급을 위한 비료도 시비한다. 또한 식물이 활동을 활발히 시작하는 때이므로 물도 자주 주어야 한다. 밖이 따뜻해졌다고 이른 봄에 성급하게 식물을 밖에 내놓았다가 늦서리라도 오면 동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새순이 나면 새순에 잘 붙는 진딧물이 생길 수도 있으니 적당히 통풍을 시켜주고 진딧물이 생기는지 잘 관찰해야 한다.
2. 여름철 관리법
여름철에 반려식물의 가장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은 강한 햇빛과 높은 온도이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서 수분 증발이 많아지기 때문에 물을 자주 준다. 또 분무기로 물을 수시로 뿌려 주고 아예 식물 주변에 물을 담아두어 공중 습도를 높여주는 것도 좋다. 베란다에 식물을 두었다면, 식물이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블라인드나 간단한 차광용 발을 설치하는 등 차광장치를 해주어야 한다. 기온이 매우 높으므로 자주 창문을 열어 통풍을 시켜준다.
3. 가을철 관리법
가을에 접어들면 식물들의 활동도 급격히 줄어든다. 따라서 필요한 수분도 봄과 여름철보다는 매우 줄어든다. 그러므로 물 주는 횟수를 점차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가을이나 겨울에 식물들을 많이 죽이게 되는데, 이는 봄철이나 여름철에 하던 그대로 물을 자주 주어 식물의 뿌리가 썩기 때문이다. 물론 가을에는 비료도 주지 않아야 한다.
4. 겨울철 관리법
겨울철에 가장 조심하여야 할 것은 식물들을 추위로부터 보호하는 것과 물 주기다. 식물들이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는 적당한 실내 온도를 조성해주고 물 주는 횟수를 줄여준다. 또한 실내 난방으로 인해 공기가 매우 건조할 수 있으니 분무기로 물을 자주 뿜어주어 공중 습도를 높여준다. 낮에는 베란다에서 햇빛도 받을 수 있도록 해주고 해가 좋은 날은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는 일도 잊지 말자.
5. 반려식물의 병충해
실내 반려 식물의 병충해는 실내가 매우 건조하거나 공기가 통하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단 병든 잎이나 가지를 발견하면 빨리 잘라내고 식물을 공기가 잘 통하는 밝은 곳에 옮겨둔다. 그래도 회복이 안되면 가까운 화원에 들러 증세에 맞는 약제를 구입해 뿌려준다. 식물은 병충해에 걸리면 치료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평상시에 물을 수시로 뿜어주고 창문을 열어 자주 통풍시킨다. 다음은 자주 나타나는 병충해 증세와 치료법이다.
1. 깍지벌레(개각충)
앞 뒷면이나 가지에 동그랗고 납작하게 붙어있는 벌레가 생겼다면 깍지 벌레일 가능성이 많다. 깍지벌레는 통풍이 안되고 건조할 때 생기기 쉽고, 주로 잎 뒷면에 달라붙어서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벌레가 많지 않을 때는 티슈에 물을 묻혀서 잡아주고 깨끗한 물로 씻어준다. 심한 경우에는 살충제인 스프리사이드를 뿌린다.
2. 진딧물
진딧물은 새싹이나 꽃눈 등 식물의 여린 부분에 자주 나타나는 벌레다. 보통 연두색으로 1.5~3mm 정도 된다. 주로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해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는다. 진딧물이 보이면 즉시 손으로 떨어내거나 분무기로 비눗물을 뿌려준다. 너무 심하면 살충제 마라치온을 뿌린다.
3. 응애
거미줄처럼 생긴 것이 잎과 가지 사이에 쳐져있고 잎과 가지에 작은 점들이 생겼다면 응애가 생긴 것이다. 응애는 식물이 너무 건조하고 따뜻한 환경에 있을 때 생기기 쉽다. 응애가 발견되면 일단 물로 깨끗하게 씻어내고 손상된 잎은 제거해준다. 식물에 물을 흠뻑 뿌려준 다음 비닐봉지로 싸서 며칠 두었다가 다시 물로 씻어낸 후 밝고 습도가 높은 장소에 두면 치료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치료가 안되면 살충제 켈센을 살포한다.
'반려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세베리아 알로카시아 (0) | 2022.10.26 |
---|---|
국화 글라디올러스 (0) | 2022.10.26 |
식물 비료주기 (0) | 2022.10.25 |
공중 습도 (0) | 2022.10.25 |
크로톤(Croton) 남천(Nandina domestica Thunb) (0) | 2022.10.24 |
댓글